2019년 7월, 장애등급제 폐지 시행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18-05-21 09:30 조회수386본문
2019년 7월 장애등급제 폐지가 본격적으로 시행됩니다.
이와 관련하여 보건복지부의 폐지 등급 절차가 시작되었으며
등급제 폐지에 따른 다양한 방안들이 나오고 있습니다.
장애등급제 폐지는 복지부 및 20개 부처와 함께 협력하여 진행될 예정입니다.
아래 기사는 출처에서 일부 발췌하여 올렸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출처를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처 :'내년 7월, 장애등급제 폐지 시행...범정부적 협력 강화', [한국스포츠경제신문],보건복지섹션, 2018.05.03, 홍성익 기자
http://www.sporbiz.co.kr/news/articleView.html?idxno=227667
- 홍성익 기자
- 승인 2018.05.03 10:30
- 댓글 0
[한스경제 홍성익 기자] 보건복지부가 국정과제인 ‘장애등급제 폐지(내년 7월)’를 차질 없이 시행하기 위해 20개 부처가 참여·협력하는 ‘장애등급제 폐지 시행준비단’을 구성해 3일 제1차 회의를 연다.
복지부에 따르면 향후 장애등급을 폐지하는 대신 장애인 개인의 욕구·환경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서비스를 지원·연계할 수 있는 ‘서비스 지원 종합조사’를 단계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중략)

지난 1988년에 도입된 등급제는 30년 동안 장애인서비스의 기준이 돼 오면서 장애인 복지정책이 단계적으로 도입·확대되는 데 기여해 왔다.
(중략) 이에 정부는 장애인의 권리보장과 지역사회 자립생활 지원을 위해 장애등급제 폐지를 국정과제로 발표하고, 장애인복지법을 개정해 내년 7월 1일부터 등급제가 폐지되는 법적근거를 마련했다.
이에 따라 장애인단체, 관계전문가, 복지부가 참여하는 ‘장애등급제 폐지 민관협의체’를 구성해 서비스 기준 등 세부추진방안을 심도 깊게 논의해 나가고 있다.
정부는 내년 7월에 장애인활동지원 등 돌봄 분야에 우선 도입한 이후, 이동지원(2020년), 소득·고용지원(2022년) 분야로 단계적으로 확대한다.
한편 각종 감면·할인 서비스에 대해선 중증장애인 우대를 위해 장애정도(현행 1~3급/4~6급)을 우선적 기준으로 활용하고, 의학적 심사가 필요한 서비스는 현행수준의 기준을 유지하는 별도의 기준을 마련할 계획이다.
시행준비단 1차 회의에서는 내년 7월부터 장애등급제가 폐지됨에 따라, 현재 장애등급을 활용하고 있는 79개 서비스의 기준 개편방안에 대해 논의한다. 이 때 가장 중요한 원칙으로, 서비스 목적에 부합하는 장애인이 지원받을 수 있도록 합리적인 지원기준을 마련한다.
또한, 장애인이 지역사회에서 안정적으로 생활할 수 있도록 기존 서비스 혜택을 최대한 유지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시행준비단은 이번 1차 회의를 시작으로 격월로 개최해 서비스 기준 개편, 예산 반영, 법령 개정, 정보시스템 개발 등 부처에서 추진해야 할 사항들을 논의하고 지원할 계획이다.
(중략)
홍성익 기자 hongsi@sporbiz.co.kr
- 이전글 한국장애인고용공단 '장애인 차량 무료점검 행사 안내' 18.05.28
- 다음글 사업주 장애인식개선교육 의무화.. 위반시 과태료 부과 18.05.21






